본문 바로가기
soso_blog/soso_생활정보

안되요 안돼요 쉬운 구별법 맞춤법 정리

by geososo 2025. 5. 15.

안되요 안돼요 쉬운 구별법

안되요 안돼요 쉬운 구별법 맞춤법 정리

자주 틀리는 '안되요'와 '안돼요', 어떻게 구별하나요?

"안되요"와 "안돼요"는 외형은 비슷하지만 맞춤법상 하나는 틀린 표현입니다.
이 글에서는 정확한 구별 기준과 함께 쉽게 외우는 팁까지 제공하여 더는 헷갈리지 않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결론 부터 알려드릴게요. "돼요", "안 돼요"로만 써야 합니다


헷갈리는 이유부터 짚어봅시다

많은 분들이 두 표현의 어미 발음이 유사하기 때문에 혼동합니다.
하지만 문장 속 기능과 동사 활용 방식이 전혀 다릅니다.
'안되요'는 틀린 표현이며, 올바른 형태는 '안 돼요'입니다.

 

가장 쉬운 구별법은 되요-하요  돼요-해요 로 바꾸어서 말이 되는지 살펴보면 쉽게 구분 할 수 있어요. 해요는 말이 되지만 하요는 말이 되지 않지요?


'안돼요'는 동사 '되다'의 부정형입니다

"되다"라는 동사에 부정부사 '안'이 붙은 형태로,
"안 된다"의 해요체 활용입니다.

예시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문장 예시 해석 맞춤법여부
이거 안돼요 이것은 허용되지 않아요 맞음
그렇게 하면 안돼요 그렇게 하면 안 되는 거예요 맞음

 

핵심: '되다'를 동사로 쓸 때, 항상 '돼요'로 활용되어야 합니다.


'안되요'는 왜 틀린 표현일까요?

'안되요'는 '되다'의 잘못된 활용형입니다.
'되요'라는 표현은 맞춤법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요'라는 표현은 존재하지 않지요)
'되다'의 활용은 '돼요' '됩니다' '되네요' 등으로 활용되지 '되요'라는 어미는 절대 쓰지 않습니다.

틀린 예시와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표현 이유 정정
안되요 '되요'가 틀림 안 돼요
그렇게 하면 안되요 '되요'는 없는 말 그렇게 하면 안 돼요

쉽게 기억하는 팁: '돼'는 '되어'의 준말

"돼요"는 원래 "되어요"의 준말입니다.
"되어요"에서 "여"가 줄어들어 "돼요"가 된 것입니다.
따라서 아래처럼 바꿔 말해보면 정답을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안 돼요 → 안 되어요"로 바꿔도 뜻이 맞으면 '돼요'가 맞습니다.
"안되요 → 안 되어요"로 바꾸면 말이 안 되므로 틀린 표현입니다.


상황극으로 이해하는 예문

"선생님, 이거 가져가도 되요?"
"안 돼요. 그건 아직 사용 중이에요."

"그러면 이건 어때요?"
"그건 돼요, 가져가도 돼요."

→ 여기서도 전부 '돼요'가 맞고, '되요'는 전혀 쓰이지 않습니다.


혼동 방지를 위한 정리표

구분 맞는 표현 틀린 표현
허용될 때 돼요 되요
금지될 때 안 돼요 안되요
설명할 때 되어 → 돼 되 → X

결론: '되요'는 없다! 항상 '돼요'만 기억하세요

맞춤법에서 중요한 핵심은
"돼요는 되어요의 준말이다"는 원칙을 기억하는 것입니다.
"되요", "안되요"는 모두 틀린 표현이며, 올바른 문장은
"돼요", "안 돼요"로만 써야 합니다.

 

반응형